<대국 사이에서 평형점을 유지하는 슬기> Jennifer Pai , 2017.08.29. 일전에 정치평론가 린중빈(林中斌)과 대기자 치러이(亓樂義)가 공저한 신서발표회에 다녀왔다. <발운견일(撥雲見日): 台美中 삼자의 곤경 타파>라는 제목의 정치분석 서적이다. 발표회 날짜가 마침 중국 공산당 마오저동의 인민군이 1958년 8월 23일 푸젠성 앞의 진먼(金門)섬에 포격을 가하면서 일어난 <823포전> 59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대륙 내에서의 국공내전의 연장선이자 장제스가 타이완을 본토수복의 기지로 삼은지 10년 동안 각종 충돌이 발생했었지만 823포전이야말로 양안간의 군사 대치가 절정에 이르렀던 사태였었다. 책에서 제시한 타이완과 중미 삼자간이 이제는 장애물과 같았던 구름을 헤치고 해를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취지와 대조적이지만 의미심장하다고 본다. 현 시점에서 본다면 미중의 양대 세력과 타이완 간의 삼자가 안고 있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건 사실이다. 게다가 도널드 트럼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후부터 그의 발언과 행동으로 인하여 삼자의 정국에는 더 큰 변화를 가져다 주었고 중공기는 타이완 주위를 돌기까지 하여서 시진핑은 타이완에 대해 마냥 포용과 회유정책만을 쓰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이므로 미중 양대국은 정치,경제 및 타이완해협 안전에 예전보다 더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같다. 타이완의 시각에서 보는 삼자 관계는 마치 한국에서도 미중 대립에서 평형점을 찾기 위해 고심하는 상황과 흡사한 점이 없지 않다. 한국의 사드 배치로 인한 한중관계가 빙점에 가까워진 사태나 심지어 일부 지정학적인 요소로 4백년 전에 일어난 임진왜란이나 한 세기 전에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았던 한반도의 역사 장면과 비슷하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그렇다고 누가 당장 전쟁을 일으킨다는 건 아니다. 김정은체제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미국이 북한과 무력으로 맞대결을 할 것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한 나라의 중산층...